본문 바로가기
생활

[급여계산] 일할지급이란? 입사·퇴사 시 쉽게 계산하는 법

by 마지막까지 2025. 3. 27.

 

 

목차

     

    일할지급


    💸 [급여계산] 일할지급이란? 입사·퇴사 시 쉽게 계산하는 법

    입사하거나 퇴사할 때, 월급을 어떻게 받는지 궁금하셨나요?
    특히 한 달을 다 채우지 않고 일한 경우엔 **‘일할지급’**이라는 방식으로 급여가 계산됩니다.
    이번 글에서는 일할지급이란 무엇인지, 그리고 누구나 쉽게 계산하는 방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

    ✅ Q. 일할지급이란 무엇인가요?

    **A. ‘한 달치 월급을 일한 날짜만큼 나눠서 계산하는 것’**이에요.

    예를 들어 월급이 250만 원인데, 3월 24일부터 31일까지 8일만 일했다면
    한 달치가 아닌 8일치만 계산해서 급여를 받는 방식입니다.


    ✏️ Q. 일할지급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
    공식은 아주 간단합니다!

    ① 일급 계산 = 월급 ÷ 해당 월의 총 일수  
    ② 일할지급 = 일급 × 실제 근무일수
    

    📌 예시 계산

    • 세전 월급: 2,500,000원
    • 근무기간: 3월 24일 ~ 3월 31일 (8일)
    • 3월은 총 31일
    일급 = 2,500,000 ÷ 31 ≈ 80,645원  
    8일치 급여 = 80,645 × 8 ≈ 645,160원 (세전)
    

    💰 Q.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나요?

    4대 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)이 공제되기 때문에
    실제로 받는 돈은 세전 금액보다 줄어듭니다.

    📌 4대 보험 공제율: 약 9.4%

    예상 공제액 = 645,160 × 0.094 ≈ 60,645원  
    실수령액 = 645,160 - 60,645 ≈ 584,515원
    

    즉, 손에 쥐는 돈은 약 58만 원대가 됩니다.


    📝 마무리 정리

    • 일할지급은 입사/퇴사 시 꼭 체크해야 할 급여 계산 방식입니다.
    • 위의 공식만 알면 누구나 손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.
    • 다만 실제 지급액은 회사의 내부 규정이나 세금, 공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만 해주세요!

    📌 Tip. 일할계산 급여가 궁금할 땐 ‘월급 ÷ 일수 × 근무일’만 기억하세요!
   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 😊